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

방역위생정보

가축전염병

흡혈성 곤충 생태 특성

관리자 2025-09-05 조회수 43

출처) 농림축산검역본부


흡혈성 곤충 생태 특성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동물방역시스템으로 안전하게 지키겠습니다.


▣  등에모기(Biting midges)

○ 분류학적 위치

  • 곤충강(Insecta) 파리목(Diptera) 등에모기과(Ceratopogonidae)

 

○ 국내 기록 종: 7속 38종

 

○ 형태적 특징

  • 성충의 몸길이는 약 1~2 mm로 사람을 흡혈하는 곤충 중에 가장 작다.
  • 몸은 흑색 또는 암갈색을 띠고, 다리가 짧으며 날개는 특이한 시맥상과 얼룩무늬가 특징이다(그림2-1).
  • 머리는 작고, 겹눈은 돌출되어 있어 파리류의 머리와 비슷하다.
  • 더듬이는 긴 실모양으로 13~14마디이고, 입은 흡혈하기에 적당하지만 짧으며, 촉수는 5마디이다.
  • 암컷의 더듬이에는 짧은 털이 있으나, 수컷에는 많은 수의 긴 털이 나 있어 암수구별이 가능하다.
  • 가슴의 흉배판(scutum)의 어깨홈(humeral pit)이 뚜렷한 것이 특징이다.
  • 가슴에는 1쌍의 날개가 있고 뒷날개는 퇴화되어 있다.
  • 날개의 길이는 짧지만 폭이 넓고, 미세한 털로 덮여 있으며 인편은 없다.
  • 날개의 시맥은 단순하고 중맥(medius)이 분지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.
  • 알의 길이는 0.5 mm이고 바나나모양이다.
  • 유충은 5~6 mm 정도이고 선충모양이다. 몸은 12마디이고 마지막 마디에는 2~4개의 신축성 있는 유두돌기(papillae)가 있다.
  • 번데기는 2~4 mm이다.

○ 생활사 및 습성

  • 주로 논, 호수, 연못과 더불어 나무구멍, 습지 등 물이 고인 곳에서 주로 발생한다.
  • 약 30~250개의 알을 물가의 토양이나 수초에 산란하는 습성이 있다.
  • 유충은 4령기를 거치며 여름의 경우 14~25일에 유충발육 마친다.
  • 번데기 기간은 3~10일이며, 성충의 수명은 3~4주 정도로 알려져 있다.
  • 암수 모두 에너지원으로 식물의 꿀이나 수액을 통해 얻지만 짝짓기를 마친 암컷은 알 발육을 위해 흡혈원을 필요로 한다.
  • 흡혈원으로는 사람을 비롯한 포유류나 조류이고, 낮과 밤 모두 흡혈활동을 한다.
  • 이동능력은 산란과 흡혈원에 따라 수 백 미터를 비행하기도 한다.
  • 월동은 알 또는 유충으로 월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  • 일부 분류군은 무흡혈산란(autogenous)을 한다.

 

○ 매개 감염병

  • 미소곤충인지만 발생 개체가 많아 흡혈활동으로 인한 사람 또는 가축에 피해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.
  • 현재 국내에 서식하는 등에모기가 매개하는 감염병은 보고된 바 없다.
  • 하지만 아프리카의 중․서부지역에서 Mansonella 기생충을 옮기는 매개체로 알려져 있고, 남미의 경우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.

 

○ 방제법

  • 등에모기의 서식 장소는 다양하여 확인하기 어렵기에 물리적 방제보다 주로 화학적 방제를 사용한다.
  • 물리적 방제
  • 민가 주변에 있는 습지, tree hole 등과 같은 물이 고인 곳을 매꿔 등애모기의 서식지를 파괴한다.
  • 민가로의 유입을 막기 위해 촘촘한 방충망 (20mesh/inch)나 개인용 모기장 설치를 통하여 접촉을 차단한다.
  • 또한 빛으로의 유인이 되기에 Black Light trap을 이용하여 유인해서 포획한다.
  • 화학적 방제
  • 등에모기의 경우 주로 화학적 방제를 수행하는데 다양한 방제법 중 연막법을 사용한다.
  • 연막법의 경우 모기류에 비해 크기가 작기에 낮은 농도의 살충제로도 방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, 주로 해질녁이나 새벽에 방제해야 한다.
  • 방제 시 사용되는 살충제는 주로 피레스로이드계열의 살충제가 사용된다.
  • 개인 방어
  • 등에모기가 많이 서식하는 호수, 논, 저수지 등에서 활동 시 기피제 (Diethylphthalate, Demethylphthalate, Trimethyl pentanediol)를 주기적으로 도포하여 접촉을 차단한다.
다음글
다음글이 없습니다.
이전글
방역시 활용가능한 살충제 종류